
• 활성 슬러지 공법의 미생물 상태 파악 및 수질 상시 모니터링
• 하폐수처리장 CO2 배출 및 비용 절감 실현
• 과폭기 방지를 통한 에너지 효율 증대
• 유입수와 방류수의 데이터를 이용한 공정 진단으로 플랜트 최적화
• 폭기조 실시간 수질 데이터 모니터링으로 TMS 조기 대응 가능
• 스마트 폐수처리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 화면 표시 제공 항목
Dissolved Oxygen |
DO레벨 제공과 다른 측정 변수와 함께 하나의 변수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것보다 높은 수준의 자동화 제공 |
Temperature |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박테리아 퍼포먼스에 영향을 주는 MLSS의 온도 측정 가능 |
Ammonium | 상시 보고되며 임계 산소농도 지점과 결합하여 플랜트 폭기 시스템과 DO 셋 포인트 설정을 도움 |
Potassium | 암모니아 결과가 높은 수준의 칼륨에 의해 간섭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 |
pH | 상시 보고되며 필요에 따라 목표 pH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 투여량 결정 가능 |
MLSS | 플랜트의 FM비 결정에 사용 |
SVI/SSVI | 최종 해석을 통한 예상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슬러지를 결정/보고 |
BOD | Respirometry를 통한 샘플의 유기물 제거시간 측정을 통함 |
Oxygen Uptake Rate (OUR) |
박테리아 활성 정도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플랜트에 가해지는 로드와 최적의 MLSS 레벨에 대한 지표를 나타냄 |
Specific Oxygen Uptake Rate (SOUR) |
MLSS 데이터를 사용하여 박테리아의 건강 상태 유지 여부와 플랜트 내 문제 발생 여부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박테리아의 비교 성능 제공이 가능하며, 만성 독성 효과를 판단 |
Nitrate | 질산염은 대부분의 처리 플랜트가(암모니아와 함께) 운용하는 TN동의 매개 변수 핵심 구성 요소로써, 질산염은 처리 작업에서 암모니아 감소에 의해 생성되며, 무산소조에서의 탈질소 작용에 의해 질소 가스로 추가 감소 가능 |
Conductivity | 전도도는 유입수의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 가능하며, 대략적으로 입구의 높은 전도도는 유입수의 화학적 오염 물질을 나타냄 |
▶ 응용 프로그램 제공 항목
Nitrification Levels |
시스템이 암모니아 함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폭기 시스템의 미세 조정 허용 |
RAS (Concentration) |
MLSS와 함께 측정 시, 플랜트가 과잉 슬러지의 낭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자동화 가능 |
Toxicity Management |
OUR, 질화작용상태, MLSS레벨의 비교 측정법에 의해 제공되며, 독성이 낮은 박테리아 성능의 출처를 나타내는 결정 매트릭스와 비교 |
Critical Oxygen Concentration Points |
Full Carbonaceous 생물 분해에 필요한 최소 DO레벨과 질화세균에 의한 최대 암모늄 감소에 필요한 DO 레벨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운전자가 플랜트 내에서 설정 세트 포인트를 동적으로 설정해 폭기를 최적화하고 에너지 소비량 최소화 |
F/M ratio | OUR:MLSS |
Critical Nitrifying DO | 임계 질산성 DO산정을 통한 최적의 DO 설정값 도출 |
Critical Carbonaceous DO | 임계 탄소성 DO산정을 통한 최적의 DO 설정값 도출 |
HRT | 호흡법 그래프를 통한 HRT 산출 |
Denitrification | 호흡법 그래프를 통한 탈질화량 산출 |
▶ 12 가지의 수질 항목 동시 측정 기능/ 원격 접속 상시 모니터링

•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격 제어로 수질관리 문제점 개선
•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플랜트 운영 컨설팅/ 개선방안 판단 가능
▶ 계측기 내부 소개

• 내부장착된 3대의 와이퍼로 상시 자동 세척하며, 샘플의 외부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정확한 테스트 기능
• 자동 교정을 통한 손쉬운 유지보수 및 센서 정확도 향상
▶ Feed-Forward/Feed-Back 운전을 통한 효율성 증대

• 생물반응조 최적 조건 연산을 통해 최적 운전 조건 도출
• 전단에서(Feed-Forward) 하수의 유입량을 파악하여 현재 폭기조 상태를 파악하고, 후단에서(Feed-Back) 처리 완료 모니터링으로 TMS대응 가능
• Modbus, RS485, Profibus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로 PLC와 HMI/SCADA 연결 가능
▶ 방류규정준수를 위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동화 운영
• 3단계의 구성: 유입수 모니터링, 수질 측정, 분석제어프로그램을 통한 송풍기 및 밸브 연동